함수의 평가로 자료를 취급하고 부수효과를 멀리하며 조합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래밍.
복잡한 문제를 간결한 코드로 해결하는 동시에 함수/비동기/지연성/동시성 등을 값으로 다뤄 적절한 시점에 평가하는 방식으로 높은 효율성을 얻는 특별한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있다.
전후 로직 비교 & 개선된 점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설명
spreadSheet 파싱 로직
<aside> ❓ spreadSheet 파싱 로직을 선언적이라 할 수 있는가?
</aside>
물리엔진의 로직을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
<aside> ❓ 물리엔진에서 자료 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있는가?
</aside>
<aside> ❓ 엔티티 객체의 프로퍼티를 변경하는 방식이 가변데이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아닌가?
</aside>
generator를 사용해 이터레이터의 순회 적용